
연세대학교 한 강의의 중간고사에서 집단적인 부정행위 정황이 발견돼 파장이 일고 있다. 상당수 학생이 챗GPT 등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3학년 대상 수업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담당 교수는 최근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다수 발견됐다”며 적발된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를 모두 ‘0점’ 처리하겠다고 공지했다.
자연어 처리와 거대언어모델(LLM) 등 생성형 AI를 가르치는 이 수업의 수강생은 600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강생이 많아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중간고사도 지난 15일 비대면으로 치러졌는데, 이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발생했다.
시험은 온라인 사이트에 접속해 객관식 문제를 푸는 방식이었다. 응시자는 시험 기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손·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찍어 제출해야 했다.
하지만 일부 학생은 촬영 각도를 조정해 사각지대를 만들거나, 컴퓨터 화면에 여러 프로그램을 겹쳐 띄우는 식으로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정황을 파악한 교수는 학생들에게 ‘자수’를 권유했다고 한다.
부정행위를 저지른 학생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수강생 사이에선 부정행위자가 전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에 한 학생이 ‘양심껏 투표해보자’는 글을 올렸다.
실제 부정행위를 저지른 학생 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강생 사이에선 절반 이상일 수 있다는 말이 나왔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스스로 비수강생이라 밝힌 응답자를 제외한 353명 중 ‘커닝했다’에 투표한 사람은 190명에 달했다. ‘직접 풀었다’는 163명에 그쳤다.
해당 수업 수강생 A씨는 연합뉴스에 “대부분 챗GPT를 사용해 시험을 치른다”며 “나만 안 쓰면 학점을 따기 어려울 거라는 계산”이라고 말했다.
지난 학기 이 수업을 들은 B씨 역시 “저를 비롯해 많은 친구가 AI로 검색해 가며 시험을 봤다”고 털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