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체 라인 후보 참가 자격은 최소 월즈 1회 이상 우승.
귀찮아서 리그 기록은 LPL 기록은 다 제외하고, LCK만 기록함.
1. 역체탑

역체탑은 Zeus
그러나 다른 라인들과 달리 월즈 3회 이상 우승자가 아무도 없어서, 내년에 당장 기존 1회 우승자가 한 번 더 우승하면 금방 따라잡힐 수 있고, 그렇게 된다면 다시 역체탑 논쟁에 불이 붙을 것으로 추정됨. 예를 들어 더샤이가 내년에 한 번 더 우승하면서 파엠까지 먹는다면, 바로 제우스와 반반 논쟁이 생길 수 있음.
참고로 월주 우승 횟수 순으로 나열했고, 횟수가 같을 때에 나열 순서는 월즈 우승 순서임.
그리고 듀크는 월즈 2회 우승이긴 하나, 주전으로 2회 우승은 아니라서 100% 주전으로 출전한 제우스가 역체탑인 것이 타당함.
2. 역체정

역체정은 Bengi와 Oner가 양분할 듯.
이 글 작성 시점은 2025 롤드컵 결승 다음날이라 가장 최근 3회 연속 우승한 오너의 손을 들어주는 사람들이 많을 수 있으나, 현역 선수라 지금도 경기를 볼 수 있다는 프리미엄이 붙었을 뿐 벵기도 역체정 후보에 끼기에 부족하지 않음. 물론 오너는 3회 모두 주전으로 출전하였기에 이 부분에서는 유리함. 다만 리그 우승이 적다는 점과 MSI 우승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벵기도 만만치 않음.
역체정은 주전의 오너냐 커리어의 벵기냐로 갈릴 듯.
참고로 파란색 표시는 샐러리 캡 감면 적용 선수임. 에 따르면, LCK 3점 & 국제대회 6점 또는 LCK 5점 & 국제 대회 3점을 획득해야 감면 대상이 됨. 리그에서 정한 공인된 기준을 만족하는 우수 선수라는 지표가 될 수 있음.
3. 역체미

이견의 여지 없이 역체미는 Faker임.
4. 역체원

역체원은 Gumayusi
월즈 2회 이상 우승자조차 뱅 뿐임. 뱅에 비해 월즈 우승 횟수가 더 많다는 것, 파엠을 받았다는 점은 더 유리하지만, MSI 우승이 전무하다는 점, LCK 우승 횟수가 너무 적다는 점에서 불리함. 그 모든 점을 고려해도 월즈 3회 우승 + 파엠의 가치가 훨씬 더 높으므로 구마유시가 역체원인 것이 마땅함. 또한 뱅은 은퇴했지만, 구마유시는 현역이라 내년에도 안전함. 만약 룰러가 내년에 FST, MSI, LCK, 월즈 모두 우승하고 전부 파엠으로 도배한다면 다시 반반 논쟁이 시작될 수 있긴 함. 근데 그건 월즈 1회 우승 추가 정도와 달리 너무 어려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그 어려운 일을 해낸다면? 그렇게 까지 해낸다면야 당연히 반반 논쟁에 끼어들만함.
5. 역체폿

역체폿은 Keria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
케리아를 제외하면 울프와 베릴 정도가 거론될 만 함. 그러나 울프는 은퇴했고, 그나마 베릴 정도만 내년에 월즈를 우승한다면 다시 반반 논쟁이 시작될 수 있음.
6. 역체롤

부연 설명할 필요 없이 Faker임.
역체 논쟁에 발이라도 들이려면 최소 월즈 2회 이상 우승은 해야해서 이 표는 2회 이상 우승자만 기재함.
역체롤이야 당연히 페이커지만, 역2롤을 꼽아보라고 한다면 매우 어려울 듯. 올해 롤드컵 전까지는 베릴이었다고 보지만, 올해 롤드컵 결승 이후부터는 누구라고 딱 잘라서 말하기가 어려울 것 같음.